💡INSIGHT
-
[일의 미래] 하기 싫은 일을 하고, 그렇게 번 돈으로 여행하는 패턴은 언제까지 유효할까? feat. AI
안녕하세요! 히치하이커 대표, 책 저자 김다영입니다.콘텐츠 비즈니스를 둘러싼 새로운 담론과 미디어 정보를 수시로 큐레이션하고, 저의 의견을 정리합니다. 자기계발담론에서의 '여행', 경험인가 과소비인가? 유튜브에서 올 상반기 즈음 핫했던 주제이고, 소셜미디어에서는 주기적으로 도는 플로우이기도 하다. 어제 위 영상을 보게 되었는데, 저 부류의 재테크 자기계발 채널은 평소 전혀 보지 않지만, 저 기이한 현상의 대표 주자로 등장하는 게 '여행'이어서 유심히 봤다. 스크립트 몇 개를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 정말 아껴서 일단 자산 시드를 확보한 다음에 그거를 누가 먼저 굴리느냐 이게 지금 자본주의에서의 싸움인데, 소득 수준은 많이 평범한 데도 불구하고 해외 되게 많이 가시거든요. 그러면서 이분들이..
2025.11.22
-
[일의 미래] 포스팅 제로 현상, 그리고 생각하는 힘
안녕하세요! 히치하이커 대표, 책 저자 김다영입니다.콘텐츠 비즈니스를 둘러싼 새로운 담론과 미디어 정보를 수시로 큐레이션하고, 저의 의견을 정리합니다. Why did our friends stop posting on social media?BBC Special Correspondent Katty Kay and writer Kyle Chayka discuss the ways that social media is changing – and what that means for how we live our lives online.www.bbc.com 1. 포스팅 제로(posting zero)의 시대인스타그램은 나에겐 정말 계륵같은 존재다. 여행 분야의 미디어 일을 하면서 놓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키우..
2025.10.10
-
[일의 미래] AI 시대에 솔로프리너의 갈림길, 성장 vs. 행복?
안녕하세요! 여행 미디어 히치하이커 대표, 책 저자 김다영입니다.콘텐츠 비즈니스를 둘러싼 새로운 담론과 미디어 정보를 수시로 큐레이션하고, 저의 의견을 정리합니다. 스타트업의 최종판, 1인 기업?며칠 전, 내가 IT 업계에 처음 몸담았던 스타트업을 창업했던 대표가 또다시 창업한다는 뉴스가 들려왔다. 그 다음 일했던 스타트업의 대표도 여전히 '잘되는' 분야로 옮겨와 고군분투하며 존재감을 키우기 위해 애쓰고 있다. 사회 초년생 시절에, 20년간의 IT 스타트업 업계에서 현재까지도 유명세를 유지하는 대표 2명과 일했던 경험을 짧게나마 가졌다는 건 굉장히 운이 좋았다고 본다. IT스타트업에서 홍보팀장으로 CEO들을 가까이서 지켜보면서, 창업과 사업이 내게도 맞을지 깊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나도 한때는..
2025.06.27
-
여행 크리에이터가 유튜브 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 (feat. 네이버, 인스타)
요즘 여행 크리에이터 바닥을 보며 드는 생각유튜브로 건너온지 딱 2년이 되었고, 1천명 대에서 시작한 채널은 어느덧 6만 명대 여행 유튜브가 되었다. 2007년부터 이 블로그를 시작했던 1세대 고인물 치고는 나름 유튜브 세상에 잘 안착했다고 본다. 티스토리도 카카오 분사 얘기가 나오기 전부터 미래가 그리 오래갈 것 같지는 않아서, 서버 사서 워드프레스로 닷컴 구축하고 독립형 미디어로의 다음 스텝을 준비해 왔다. 블로그에서 시작해 유튜브 기반 온라인 미디어로 독립하는 과정에서 가장 크게 배운 게 있다면, 유튜브는 지금까지 운영해온 블로그, 팟캐스트, SNS(인스타)와는 콘텐츠 기획의 매커니즘이 처음부터 다르다는 점이다. 네이버 인스타에서는 날라다니는 여행 크리에이터들이, 유독 유튜브에서는 맥을 못추는 걸..
2025.05.11
-
[일의 미래] 콘텐츠 비즈니스로서의 유튜브, 젠트리피케이션과 알고리즘
안녕하세요! 히치하이커 대표, 책 저자 김다영입니다.콘텐츠 비즈니스를 둘러싼 새로운 담론과 정보를 수시로 큐레이션하고, 저의 의견을 정리합니다. 유튜브 상권 활성화의 그늘, 젠트리피케이션(?)살롱드립에 출연한 침착맨이 바라보는, 원주민과 거대 자본의 대결 구도. 1. [요새 하면서 느낀 게 거대 자본이 들어왔잖아요]거대 자본이 들어오면서 좀 힘들어졌어요. 골목 상권이잖아요 사실은. (원래는) 주먹구구식으로 하던 채널들이 있었는데 (본인 포함) 2. [원주민 대표가 보는 거대 자본 난입의 문제점] 거대 자본들이 들어오면 뭐가 문제냐면 시청자가 눈이 높아져요! - 아 - 그래서 이제 거대 자본이 만드는 굉장히 높은 퀄리티의 영상을 당연한 듯이 누려요.3. [PPL로 수익 내기도 만만치 않음] 거대..
2025.02.20